코딩테스트/프로그래머스

[코딩테스트 입문] Day 02 사칙연산, 조건문, 배열 (JavaScript)

Kim Minki 2022. 12. 22. 16:35
  • 두 수의 나눗셈
  • 숫자 비교하기
  • 분수의 덧셈
  • 배열 두 배 만들기

<두 수의 나눗셈>

문제 설명

정수 num1num2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num1num2로 나눈 값에 1,000을 곱한 후 정수 부분을 return 하도록 soltu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제한 사항

  • 0 < num1 ≤ 100
  • 0 < num2 ≤ 100

입출력 예

num1 num2 result
3 2 1500
7 3 2333
1 16 62

입출력 예 설명

입출력 예 #1

  • num1이 3, num2가 2이므로 3 / 2 = 1.5에 1,000을 곱하면 1500이 됩니다.

입출력 예 #2

  • num1이 7, num2가 3이므로 7 / 3 = 2.33333...에 1,000을 곱하면 2333.3333.... 이 되며, 정수 부분은 2333입니다.

입출력 예 #3

  • num1이 1, num2가 16이므로 1 / 16 = 0.0625에 1,000을 곱하면 62.5가 되며, 정수 부분은 62입니다.

나의 풀이

function solution(num1, num2) {
    let answer = parseInt(num1/num2 * 1000);
    return answer;
}

풀이 설명

  1. 변수 answer를 선언하고, 그 안에 num1num2로 나눈 값에 1000을 곱한 후 parseInt를 이용하여 정수만을 취해 저장한다.
  2. answer를 반환한다.

<숫자 비교하기>

문제 설명

정수 num1num2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두 수가 같으면 1 다르면 -1을 retru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제한사항

  • 0 ≤ num1 ≤ 10,000
  • 0 ≤ num2 ≤ 10,000

입출력 예

num1 num2 result
2 3 -1
11 11 1
7 99 -1

입출력 예 설명

입출력 예 설명 #1

  • num1이 2이고 num2가 3이므로 다릅니다. 따라서 -1을 return합니다.

입출력 예 설명 #2

  • num1이 11이고 num2가 11이므로 같습니다. 따라서 1을 return합니다.

입출력 예 설명 #3

  • num1이 7이고 num2가 99이므로 다릅니다. 따라서 -1을 return합니다.

나의 풀이

function solution(num1, num2) {
    let answer;
    if(num1 == num2){
        answer = 1;
    }
    else {
        answer = -1;
    }
    return answer;
}

풀이 설명

  1. 두 수가 같으면 1, 다르면 -1을 저장할 변수 answer를 선언한다.
  2. if 문을 이용해 num1num2가 같을 경우 answer에 1을, 그렇지 않을 경우 answer에 -1을 저장하도록 한다.
  3. answer를 반환한다.

<분수의 덧셈>

문제 설명

첫 번째 분수의 분자와 분모를 뜻하는 denum1, num1, 두 번째 분수의 분자와 분모를 뜻하는 denum2, num2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두 분수를 더한 값을 기약 분수로 나타냈을 때 분자와 분모를 순서대로 담은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.

제한사항

0 <denum1, num1, denum2, num2 < 1,000

입출력 예

denum1 num1 denum2 num2 result
1 2 3 4 [5, 4]
9 2 1 3 [29, 6]

입출력 예 설명

입출력 예 #1

  • 1 / 2 + 3 / 4 = 5 / 4입니다. 따라서 [5, 4]를 return 합니다.

입출력 예 #2

  • 9 / 2 + 1 / 3 = 29 / 6입니다. 따라서 [29, 6]을 return 합니다.

나의 풀이

function solution(denum1, num1, denum2, num2) {
    let numerator = denum1 * num2 + denum2 * num1; // 두 수를 더한 분수의 분자
    let denominator = num1 * num2; // 두 수를 더한 분수의 분모
    let GCD = 1;   // 분자와 분모의 최대공약수를 저장하는 변수(초기값은 1로 선언, 서로소일 경우 최대공약수는 1)
    for (let i = 2; i <= denominator; i++){
        if (((numerator % i) == 0) && ((denominator % i) == 0)){
            GCD = i;    // 최대공약수 저장
        }
    }
    let resultNumerator = numerator/GCD;   // 분자를 최대공약수로 나눈 결과.
    let resultDenominator = denominator/GCD;   // 분모를 최대공약수로 나눈 결과
    let answer = [resultNumerator, resultDenominator];
    return answer;
}

풀이 설명

  1. 변수 numerator를 선언하고, 두 분수를 더한 분수의 분자를 계산하여 저장한다.
  2. 변수 denominator를 선언하고, 두 분수를 더한 분수의 분모를 계산하여 저장한다.
  3. 최대 공약수를 저장할 변수 GCD를 선언하고 초기값을 1로 지정한다.
    (분자와 분모를 약분할 때 두 수가 서로소일 경우 최대공약수는 1이기 때문이다.)
  4. for 문을 이용해 2부터 분모 값을 나타내는 denominator에 저장된 값까지 순차적으로 분자와 분모를 각각 나눠보고 둘 다 나누어떨어지는 숫자가 나올 때마다 if 문을 이용해 GCD에 저장되게 한다.
  5. for 문이 끝나면 GCD에는 분자와 분모 둘 다 나누어 떨어지게 만든 가장 마지막 수가 저장되고, 이는 곧 분자와 분모의 최대 공약수가 된다.
  6. 변수 resultNumeratornumeratorGCD로 나누어 약분 후의 분자를 저장한다.
  7. 변수 resultDenominatordenominatorGCD로 나누어 약분 후의 분모를 저장한다.
  8. 배열 answer를 선언하고, 그 안에 약분된 분자와 분모가 저장된 변수인 resultNumeratorresultDenominator를 차례로 저장한다.
  9. answer를 반환한다.

<배열 두배 만들기>

문제 설명

정수 배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numbers의 각 원소에 두배한 원소를 가진 배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제한사항

  • -10,000 ≤ numbers의 원소 ≤ 10,000
  • 1 ≤ numbers의 길이 ≤ 1,000

입출력 예

numbers result
[1, 2, 3, 4, 5] [2, 4, 6, 8, 10]
[1, 2, 100, -99, 1, 2, 3] [2, 4, 200, -198, 2, 4, 6]

입출력 예 설명

입출력 예 #1

  • [1, 2, 3, 4, 5]의 각 원소에 두배를 한 배열 [2, 4, 6, 8, 10]을 return합니다.

입출력 예 #2

  • [1, 2, 100, -99, 1, 2, 3]의 각 원소에 두배를 한 배열 [2, 4, 200, -198, 2, 4, 6]을 return합니다.

나의 풀이

function solution(numbers) {
    for (let i = 0; i < numbers.length; i++){
        numbers[i] *= 2;
    }
    return numbers;
}

풀이 설명

  1. for 문을 이용해 배열의 길이만큼 배열의 처음부터 끝까지 각 원소에 순차적으로 2를 곱하고, 그 값을 다시 배열에 저장한다.
  2. 각 원소가 두 배가 된 배열 numbers를 반환한다.